한국표준과학연구소 정희준 박사





정희준 박사
연구원, 재료 과학 및 공학 및 NU ANCE 센터
Northwestern University
Room: AG2, Technological Institute Building
2145 Sheridan Rd
Evanston IL, 60208
이메일: hjjung@northwestern.edu , hjjung98@gmail.com


정희준 박사 '안될과학' 반박 내용 요약 에펨코리아 전도방위산업님
에펨코리아 요약
1. 그래프 저항이 구리보다 높다=>
원래 초전도체 검증할땐 높은 스케일에서 점핑만 확인하려고 찍기 때문에 저항값은 신경 안쓴다 점핑 확인이 주목적인거다
구리보다 1000배 높다는둥 이거는 측정목적도 이해못한거다
저항 0 찍고싶으면 정밀 초전도 측정을 따로 하겠지
2. MIT도 그래프가 비슷하다=>
절연체 전이는 그래프 방향이 반대인데 기초적인것도 몰라서 헛소리한다
3. 측정이 쉽다=>
쉽지 않다. (카이스트 교수님과 비슷한 얘기)
4. 물질 순도 관련 =>
연구 초기단계에서 그렇게 쉽게 썩썩 확인할 수 있을만큼 순도 높은 물질 뽑는게 쉽지 않다
ybco( *지금 쓰고있는 저온 초전도체)도 순수정제까지 10년 걸렸고, 일부 초전도여도 불순물 껴있을수 있었다
5. 쿠퍼 전자쌍 이론으로 설명=>
그거 아직 설명못하는거 많은데 너무 맹신한다